close

유럽인은 알지만 한국 사람들은 모르는 한국인이 노르웨이에서 ‘라면왕’이 된 사연

우리나라에서는 잘 모르는데, 먼 나라 노르웨이에서는 교과서에 나올 정도로 유명한 한국인이 있습니다.

노르웨이를 비롯한 독일 등 여러 유럽 국가에서도 미스터 리(Mr. Lee)로 통하는 한국인 이철호씨 인데요.

출처-MBC

어린 소년이던 이철호는 한국 전쟁 때 포탄 파편을 맞고 다리를 크게 다쳤습니다. 당시 한국 의료 기술로는 고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었는데요.

한국에 파견을 왔다가 소년 이철호를 안타깝게 여긴 노르웨이 의사가 치료를 위해 노르웨이행을 권했습니다.

그렇게 17살이던 이철호씨는 1954년, 난민 자격으로,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노르웨이 땅을 밟았습니다.

도착한 노르웨이에서는 다리 수술만 43번을 받았고 간신히 죽음의 문턱을 넘었는데요. 하지만 낯선 타국에서 무일푼에 말도 전혀 통하지 않는 동양인일 뿐이었습니다.

그는 일단 하루 3시간씩 자며 노르웨이어를 공부했습니다. 화장실 청소부, 구두닦이 같은 궂은일을 하며 어렵게 생계를 이어갔습니다.

노르웨이 슈퍼마켓에는 구운 지 오래되고 유통기한이 지나 딱딱한 빵을 새 모이용으로 싸게 팔았는데요.

그는 새 모이용 빵을 사서 물에 불려 씹어먹으며 버텼습니다. 그러다 영양실조로 쓰러진 적도 있었는데요.

하도 굶다 보니까 그에게는 새로운 꿈이 생겼습니다. 요리사였는데요. ‘요리사가 되면 음식 찌꺼기라도 먹을 수 있으니, 배고프게 굶는 일은 없겠지’라는 단순한 생각이었습니다.

출처-MBC

요리 전문학교에 등록하게 되었고 학교에서는 한 호텔에 요리 견습생으로 그를 보냈습니다.

처음에는 설거지부터 시작했습니다. 남들이 접시 20개를 닦을 때 그는 50개를 닦았습니다.

설거지를 열심히 하자 감자 깎기 담당으로 바뀌었는데요.

남들이 감자를 그냥 껍질만 깎으면 이철호는 다음날 호텔 레스토랑 메뉴를 확인한 뒤 메뉴에 맞춰 모양을 예쁘게 내며 깎았습니다.

호텔 주방장은 아무도 시키지 않았는데도 열심히 하는 이철호의 모습을 눈여겨봤고, 감자 깎기를 그만두게 하고 정식으로 요리를 배우게 했습니다.

이후 요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최우수 학생으로 학교를 졸업, 정식 요리사가 된 이철호는 노르웨이에서 셰프로서 성공가도를 걸었습니다.

1970년대 중반, 셰프 자격으로 한국에 출장을 갔던 이철호는 우연히 한국 라면을 맛보고 큰 충격을 받았는데요.

“너무 맛있다. 요리사로서 노르웨이에 꼭 소개하고 싶다. 노르웨이에는 이런 음식이 없다”

그때까지 노르웨이에는 인스턴트 라면이 없었습니다. 노르웨이 사람들은 라면이란 음식 자체를 몰랐는데요. 라면을 노르웨이에 처음 알리기란 결코 쉽지 않았습니다.

연구 끝에 그는 라면에 매운맛을 빼고 기름진 맛을 더했습니다. 노르웨이 사람들은 소고기 맛을 좋아했는데요. 그렇게 소고기 맛 인스턴트 라면을 만들었습니다.

그는 홍보에도 최선을 다했습니다. 신문과 방송 광고에 직접 출연하며 자기 이름, 미스터 리(Mr. Lee)를 걸었습니다.

라면 표지에는 한글을 적었는데요. 한국을 알리면 라면도 자연스럽게 알려질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습니다. 라면을 모르던 노르웨이 사람들이 라면을 먹게 하는 데 걸린 시간은 3년.

‘미스터 리’ 라면은 그 뒤로 무려 20년이 넘도록 노르웨이 라면 시장 점유율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오늘날 노르웨이 어느 슈퍼마켓 라면 코너를 가도 가장 좋은 위치에 ‘미스터 리’ 라면이 배치돼 있습니다. 노르웨이 모든 학교에는 ‘미스터 리’ 컵라면 자판기가 설치돼 있습니다.

심지어 노르웨이에서는 라면을 뜻하는 고유명사가 ‘미스터리’일 뿐만 아니라 노르웨이에서는 라면의 원조가 일본이 아닌 한국으로 알려져 있어 일본 라면이 들어올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공로가 인정돼 그는 노르웨이 이민자 최초로 노르웨이 국왕으로부터 ‘자랑스러운 노르웨이인 훈장’을 받았습니다.

‘노르웨이의 라면왕’ 이철호씨는 2018년, 향년 80세를 일기로 별세했습니다. 그는 생전 “노르웨이 시민권을 가지고 살아가지만, 난 한국 사람이다”라고 말했는데요.

“한국 교민이 적은 노르웨이에서 한국말을 잊지 않기 위해 벽에 한국 단어들을 붙여놓고 평생 외워왔습니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X

오늘의 추천뉴스